OpenCodex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행 되는 각 단계와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요구사항 분석 - 솔루션의 구현이 목표가 되는 개발 시작 전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세분화하여 정량적인 정리를 시행하는 단계. 고객과의 여러차례에 걸친 협약과 개발자의 통찰을 필요로하는 단계로 반드시 개발 소요 총량이 도출되어야 하며 예상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또한, 업무수행자(또는 팀)는 [요구사항 목록표]를 작성하여 고객으로부터 검토 및 승인 받아야 한다. 2. 구현 목록 검토 - 내부적으로 요구사항 목록에서 개발자 역량에 따른 각 항목별 난이도를 특정하고 실제 구현해야 할 항목과 도입해야 할 항목을 구분/정리하여 실제 구현 필요성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 도입이란? 개발자가 이미 구현해본 경험의 재시도이거나 이미..
기준 정보는 다른 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이다. 1. 구조 정보 - 각종 데이터의 저장 시 나중에 다시 읽을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함께 저장되는 데이터. 2. 조건 정보 - 결과데이터에 사용되는 산술적 또는 논리적 조건이 정립되어있는 데이터. 조건 정보가 바뀌게 되면 타겟 데이터 전체의 근간이 함께 바뀌게 된다. 3. 특성 정보 - 타겟 데이터가 가지는 특성들의 종류가 모두 나열된 데이터. 4. 참조 정보 - 타겟 데이터를 참조하거나 타겟 데이터에 의해 참조되는 연결을 모두 나타내는 데이터. 5. 명명 정보 - 특정한 이름이나 단어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1. 기준 정보 - 다른 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 2. 상태 정보 -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에 대한 현재 값을 잠시 보관하는 데이터. 3. 예약 정보 - 특정 요구조건에 따라 생성되며, 해당 조건의 완료나 취소 또는 보류 시 삭제되는 휘발성 데이터. 4. 기록 정보 - 비휘발성 데이터 이며, 어떠한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사건의 내용을 지속 기록하는 데이터. 5. 메타 정보 - 다른 데이터를 설명하는데에 사용되는 데이터로 그 양이 승수로 증가하는 특징을 가짐. 6. 백업 정보 - 중대한 데이터의 특정 시점에 해당되는 값을 나중에 복원이 가능하도록 완전히 기록한 데이터.